20 1 0 1 3 0 10일전 1

그림도 말을 합니다

언어적 소통의 어려움을 그림으로 소통하다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저는 그림이 신호하는 의미를 읽고 통역해 주는 전문가입니다. 언어적으로만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눈으로도 말하고, 몸짓으로도 말합니다. 거기에 더하여 그림도 말합니다. 뜻밖의 삶을 경험하면서 스승이나 현자를 만나 답답함을 해결하고 싶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노크한 ‘그림’에서 그 실마리를 찾으려고 생애주기별로 많은 사람들의 그림을 보았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던 중, 대학병원 내의 ‘병원학교’에서 학생들이 스승임을 알았습니다. 그 스승들이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이 스승임을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더 나아가 내가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경험이 나의 것이고, 그 모든 것이 나를 깨우치게 해 주려고 일어난 현상임을 알게..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저는 그림이 신호하는 의미를 읽고 통역해 주는 전문가입니다.
언어적으로만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눈으로도 말하고, 몸짓으로도 말합니다.
거기에 더하여 그림도 말합니다.

뜻밖의 삶을 경험하면서 스승이나 현자를 만나 답답함을 해결하고 싶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노크한 ‘그림’에서 그 실마리를 찾으려고 생애주기별로 많은 사람들의 그림을 보았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던 중, 대학병원 내의 ‘병원학교’에서 학생들이 스승임을 알았습니다.
그 스승들이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이 스승임을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더 나아가 내가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경험이 나의 것이고,
그 모든 것이 나를 깨우치게 해 주려고 일어난 현상임을 알게 해 주었습니다.

스승은 멀리 있지 않았습니다. 항상 내 가까이에서 친절하게 가르침을 주고 있었던 것입니다.
단지, 내가 알아차리지 못하고 헤매고 있었던 것입니다.

병원학교 학생들이 자신의 그림을 내가 많이 알려서, 다른 병원에 있는 친구들도
그림을 그리면서 아프지 않게 하라고 명령했습니다.
20년이 지나서야 용기를 내어 그 약속을 지키게 되었습니다.

이 책에 소개한 그림과 말은 작가들[가명]의 허락을 받았습니다.
여러분들도 책을 보시면서 메모지나 여백에 그림을 그려서 자신과 대화, 친구⋅가족과 소통해 보시면 어떨까요?
저는 그림 속의 마음을 읽어내어 통역해 주는 심리상담사입니다.
어느 순간 누군가에게 그림을 통역한다는 일들이 두려움으로 다가왔습니다.

내면에서는 “나도 나를 모르는데 감히 누구에게 함부로 안다고 말할 수 있어”라고
꾸짖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그 후, 한 발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두려움으로 자신감을 잃고 한참을 헤매고 있었습니다.
‘스승이 있었더라면 길을 물었을 텐데’라고 아직 만나지 못한 스승을 그리워하였습니다.

습관처럼, 월요일 오전 10시 병원학교로 갔습니다. 드디어 찾고 찾던,
그립고 그리웠던 스승을 그곳에서 만났습니다. 마침내 병원학교에 있는
작은 스승들의 가르침 덕분에 그림 통역 전문가가 되기로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런 의미 없이 긁적인 낙서에 담긴 신호를 읽어냅니다.
무심히 하는 낙서로 무의식의 욕구가 신호합니다. 또한, 도움을 호소하는 절규도 담겨 있습니다.

인간은 언어적인 방법으로만 마음을 모두 표현할 수 없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머지는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표출하게 됩니다.

눈으로도 말하고, 몸으로도 말합니다. 그러나 입으로도, 눈으로도,
몸으로도 말하지 못하는 것을 그림이 말합니다. 그림은 무의식적인 부분의
아주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그림 속에서 아이들은 자신의 발달 과정을 말하고, 청소년들은 그들의 고뇌를 말하고,
성인들은 어느 시점에서 어려움이 시작되었는지 말하고, 노인들은 삶의 완성을 말합니다.

알 수 없었던 마음에서 출발하여 그림을 통하여 이해와 수용, 교감, 통찰이 일어납니다.
그림에 표현된 상징에서 의미를 알 수 있고, 질문을 통하여 알아차리게 됩니다.

네이버 인물 검색: 김종희 / 닉네임: 소크라테스
이메일: k-jayoun@hanmail.net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